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철도는 1899년 경인선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 각지와 도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발전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철도망이 확장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미 군정청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직접 관리했다. 1960년대부터 도로망 건설에 투자가 집중되면서 철도 투자는 감소했지만,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고속철도망이 구축되면서 여객 수송 능력이 향상되었다. 현재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민간 철도 회사인 SR이 운영하며, KTX, ITX,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 등급과 관광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또한, 철도 문화재 보존과 철도 동호회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북 철도 연결 및 일본과의 철도 연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 광역철도
    광역철도는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운행하며 대도시권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철도로, 대한민국에서는 특별법에 따라 지정 및 관리되며 주요 대도시권에서 운영되고 국가와 지자체가 건설 비용을 분담하고 노선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의 철도
철도 네트워크 정보
KTX 열차
KTX 열차
국가 철도KORAIL
인프라국가철도공단
주요 운영사KORAIL, SR
수송량KORAIL: 1억 3950만 명 (2019년)
SR: 2400만 명 (2019년)
여객 kmKORAIL: 236억 km (2019년)
SR: 54억 km (2019년)
화물2870만 톤 (2019년)
총 연장4285 km (2020년)
복선 연장2790 km (2020년)
전철화 연장3187 km (2020년)
고속선 연장625 km
궤간표준궤
고속선 궤간표준궤
전철화 방식교류 25 kV 60 Hz
전철화 방식 1교류 25 kV
전철화 방식 1 설명KORAIL 운영 노선 (일산선 제외)
전철화 방식 2직류 1.5 kV
전철화 방식 2 설명일산선을 포함한 모든 광역 철도망
가장 긴 터널율현 터널 (50.3 km)
역 수KORAIL: 698개
SR: 3개
최고 고도1225 m
최고 고도 역추전역
최저 고도-36 m
최저 고도 역여의나루역
한국철도공사 노선도
한국철도공사 노선도

2. 역사

대한민국 철도의 역사는 1899년 9월 경인선 (노량진-인천) 개통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미국인 사업가 모스에 의해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일본 시부사와 에이이치 등에게 철도 부설권이 넘어가 경인철도합자회사에 의해 완공되었다.[45] 1900년에는 한강을 건너는 다리가 완공되어 서울역(당시 남대문역)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경부선(1905년), 경의선(1906년) 등 주요 간선 철도는 일본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노선들은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 철도가 운영하였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한반도38선을 기준으로 분단되면서 경의선, 경원선 등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철도 분단은 고착화되었고 시설은 파괴되었다.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철도 복구와 재건에 힘썼다. 1955년 부산역-서울역 간 특급 통일호 운행을 시작으로, 1960년 무궁화호, 1969년 새마을호 등이 운행을 재개했다. 1974년에는 서울 지하철이 개통되어 도시 철도 시대가 열렸다.

1963년 대한민국 철도청이 설립되어 철도 운영을 맡았다. 철도청은 전철화와 복선화를 추진했다. 1973년 중앙선 일부 구간이 최초로 전철화되었다.

1980년대 철도는 화물 운송과 대도시 여객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7년 약 5억 2,500만 명이 철도를 이용했다.

2000년 비둘기호가 폐지되었고, 2004년 KTX 개통으로 고속철도 시대가 열렸다. 같은 해 통일호가 폐지되고 무궁화호와 통근열차로 통합되었다. 2005년 철도 운영은 한국철도공사(KORAIL)로, 시설 관리는 한국철도시설공단(KR)으로 이관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최초의 민자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다. 남북철도 연결사업으로 경의선동해북부선 일부 구간이 재개통되었다.

2016년 KORAIL의 자회사 SR이 운영하는 SRT가 운행을 시작하여, 한국 고속철도는 두 종류의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2009년 누리로, 2012년 ITX-새마을, 2021년 KTX-이음 등 새로운 열차가 도입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철도는 국가철도공단이 시설을 보유하고,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일반 철도 및 광역전철과 각 지자체가 보유하고 운영하는 도시 철도로 나뉜다. 대부분의 노선은 표준궤로 건설되었다.

한국철도공사 연도별 수송 실적[11]
여객 수송량
(통행 횟수)
여객-킬로미터화물 수송량
(톤)
톤-킬로미터
2016136,541,10523,989,379,03432,555,4418,414,121,799
2017136,815,09221,935,189,63331,669,6108,229,194,876
2018134,784,80923,108,145,61130,914,7337,877,511,772
2019139,531,12123,590,036,00228,663,7387,357,429,858



대한민국의 철도는 복선 구간에서 좌측 통행(도시 철도는 일부 제외)을 하며, 수도권 전철 차량은 대부분 동력 분산식인 점 등 일본 철도 시스템과 유사한 점이 많다. 최근에는 일본의 조이풀 트레인과 유사한 관광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한일 공동 승차권 판매, 주요 역 일본어 안내 방송 등 일본 시장을 고려한 움직임도 보인다.

2. 1. 개화기 (19세기 후반)

19세기 후반 경인선 (노량진-인천) 개통으로 대한민국 철도 역사가 시작되었다.[45] 대한제국 정부는 철도 건설을 추진하였으나, 재정 부족과 외세의 압력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6] 서울전차도 이 시기에 개통된 도시철도이다.

1899년 9월 18일 서울과 제물포(오늘날의 인천) 사이의 경인선 개통식.


1896년 3월 19일, 대한제국은 미국인 기술자 제임스 R. 모스에게 서울과 제물포(오늘날의 인천) 사이의 철도 건설 특허를 부여했다. 그러나 모스가 자금 확보에 실패하면서 특허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이끄는 일본 회사에 매각되었고,[45] 1899년 9월 18일 한강 남쪽 둑의 제물포와 영등포 사이에서 개통되었다. 1900년 7월 9일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건설되면서 서울까지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898년 2월 1일에는 서울전기회사(오늘날의 한국전력공사)가 설립되어 서울의 전력 생산을 관리하고 시내에 노면 전차 노선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노면 전차 노선은 1899년 5월 20일 서대문동대문 사이에 개통되어 한반도 최초의 철도가 되었다.

경부선은 1898년 9월 8일 일본 회사가 서울과 부산을 철도로 연결하는 특허를 받아서 건설이 시작되었다.[45] 1901년 일본 정부가 서울-부산 철도 회사를 설립했지만, 지연으로 인해 1903년 일본 정부가 이 프로젝트를 직접 관리하게 되었다. 공사는 1901년 8월 21일부터 1904년 12월 27일까지 진행되었고, 1905년 1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경의선은 프랑스 회사가 부설권을 얻었다가 한국인에게 넘어갔다가 일본이 러일 전쟁때 부설하여 완공하였다.[1]

2. 2. 일제강점기 (1910년 ~ 1945년)

일제강점기에 일제는 대륙 침략과 북부 지역 개발을 위해 평원선, 함경선(경원선의 연장으로 건설) 등의 철도를 건설했으며, 경부선을 보완하는 종관 철도로 중앙선을 건설하고 동해선 건설을 계획하여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민간 자본의 철도도 건설되어 충북선, 개천선, 토해선, 장항선, 경춘선, 마산선, 수인선, 경동선, 수려선 등이 건설되었다. 일부 사유 철도는 간선 철도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에서 매수하여 개량하였다. 협궤로 지어진 사철 중 표준궤로 개궤된 노선은 도문선 (현재의 함북선 중 삼봉 이북 구간), 경동선, 전북선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철 조달을 위해 일부 철도가 철거되기도 하였는데, 금강산선이나 경북선점촌역 이동 구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군사적으로 필요한 노선은 공사를 계속 진행했지만, 동해선이나 영동선의 영주-철암 구간 등은 일제의 패망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설치되었다. 이 부서는 처음 몇 년 동안 총독 직할 기관으로 운영되었고, 1917년 7월 31일부터 1925년 3월 31일까지는 남만주철도의 관리 하에 있었다.[10] 1925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로 독립적인 기관이 되었다.[11]

2. 3.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해방 이후 한국 철도는 큰 변화를 겪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군사적, 경제적 목적에 따라 철도가 건설되고 운영되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 철도가 운영을 맡았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한반도38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경의선, 경원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이 끊겼다. 1948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은 철도 분단을 고착화시키고 시설을 파괴했다.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철도 복구와 재건에 힘썼다. 1955년 부산역-서울역 간 특급 통일호 운행을 시작으로, 1960년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을 재개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일본과의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1969년 일본에서 도입한 객차로 특급 새마을호가 운행을 시작했다. 1974년에는 서울 지하철이 개통되어 도시 철도 시대가 열렸다.

1963년 9월 1일, 정부는 대한민국 철도청을 설립하여 보다 독립적인 철도 운영을 시작했다. 철도청은 전철화와 복선화를 추진했다. 1972년에는 국내 최초의 전철화 시험 철도가 개통되었고, 1973년에는 중앙선 일부 구간이 최초로 완전 전철화되었다.

1980년대 철도는 화물 운송과 수도권, 부산 등 대도시 여객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새마을호는 서울과 부산을 4시간 50분 만에 연결하며 인기를 끌었다. 1987년에는 약 5억 2,500만 명이 철도를 이용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도시 간 철도 투자는 부진했지만, 도시 내 철도는 지속적으로 발전했다. 서울 지하철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노선을 확장했고, 부산, 대구, 인천 등 다른 대도시에도 도시 철도가 건설되었다.

2000년 각역정차 비둘기호가 폐지되었고, 2004년에는 KTX가 개통되어 고속철도 시대가 열렸다. 같은 해 통일호가 폐지되고 무궁화호와 통근열차로 통합되었다. 2005년 국유 철도 운영은 한국철도공사(KORAIL)로, 시설 관리는 한국철도시설공단(KR)으로 이관되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민자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다.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통해 경의선동해북부선 일부 구간이 재개통되기도 했다.

2009년에는 친환경 간선형 전기동차 누리로가 도입되었고, 2012년에는 ITX-새마을이 도입되어 2019년 새마을호를 대체했다. 2021년에는 동력분산식 준고속열차 KTX-이음이 운행을 시작했다.

2016년에는 KORAIL의 자회사 SR이 운영하는 고속열차 SRT가 운행을 시작하여, 한국 고속철도는 두 종류의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한국철도공사 연도별 수송 실적[11]
여객 수송량
(통행 횟수)
여객-킬로미터화물 수송량
(톤)
톤-킬로미터
2016136,541,10523,989,379,03432,555,4418,414,121,799
2017136,815,09221,935,189,63331,669,6108,229,194,876
2018134,784,80923,108,145,61130,914,7337,877,511,772
2019139,531,12123,590,036,00228,663,7387,357,429,858


2. 3. 1. 1945년 ~ 1959년

해방 이후 석탄을 철도로 운송하여 자급자족할 목적으로 각 지역의 탄광과 연결되는 삼척탄광선, 영월탄광선, 단양탄광선 건설이 추진되었다.[47] 그러나 한국 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55년에 영암선(영주-철암)과 영월선(제천-영월)만 개통되었다. 1957년에는 영월-함백 구간의 함백선이 개통되어 영월선에 통합되었다. 1958년에는 충북선의 충주-봉양 구간이 개통되어 철도의 연결 공사가 시작되었다.

한국 전쟁의 결과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관통하는 경의선, 경원선, 동해북부선, 금강산선 등의 철도 구간이 파괴되거나 운행이 영구히 중지되었다.

2. 3. 2. 1960년대 ~ 1970년대

1961년 능의선 개통을 시작으로, 1963년에는 영동선이 통합 및 개편되었고, 인클라인이 폐지되었다. 같은 해 능의선이 연장되었다. 1966년에는 정선선경북선이 개통 및 복구되었고, 1967년 태백선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1968년 경전선이, 1969년에는 문경선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5년에는 태백선영동선의 나머지 구간이 개통되며 산업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8]

1972년 8000호대 전기 기관차 초기 도입분 66량이 운행을 시작하며 전기 기관차 시대가 열렸다. 1973년 중앙선 일부 구간, 1974년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67년 증기 기관차 일반 영업 운행이 종료되었고, 이후 1990년대 901호 증기 기관차가 교외선에서 관광 목적으로 운용되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1960년 무궁화호 운행을 시작으로, 1962년 재건호, 1966년 맹호호, 1969년 관광호 (새마을호의 전신) 등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었다. 1963년 풍년호, 1966년 청룡호, 1967년 비둘기호 등도 운행되었다. 1974년 열차 등급 통합으로 특급 열차명이 변경되었다.

1968년 육상 교통 투자 방향이 철도에서 도로망 건설로 전환되면서, 2004년 경부고속선 개통 전까지 신규 간선 철도 건설이 중단되었다.[48] 1972년 수려선이 폐선되었다.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도시 철도 시대가 시작되었다.

2. 3. 3.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에는 김포선경춘선의 성동-성북 구간이 폐지되었고, 충북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경부선과 함께 간선의 축을 이루는 호남선1985년 익산-정주 구간, 1987년 정주-장성 구간, 1988년 장성-송정리 구간 등 단계적으로 복선화가 진행되었다. 1986년에는 경원선 성북-의정부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고, 1991년에는 경부선 영등포-구로 구간이 3복선화되었다. 1995년에는 수인선이 폐지되면서 협궤 철도가 사라졌다.

여객과 물자 수송이 경부축에 집중되면서, 기존 경부선과 경부고속국도만으로는 수송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경부고속선 건설이 결정되어 1992년 착공되었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동차 형태의 차량이 등장했다. 1980년 새마을호 등급의 우등형 디젤 동차, 1985년 무궁화호 디젤 동차, 1996년 통근형 디젤 동차가 도입되었다. 1987년 도입된 새마을호 디젤 동차는 새마을호 고급화를 이끌었다. 1980년에는 우등형 전기 동차우등 등급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도시 철도 또한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서울에서는 1980년~1984년 2호선 본선과 성수지선, 1985년 3호선4호선 건설로 1기 지하철 건설이 마무리되었다. 이후 2기 지하철 계획에 따라 1995년~1996년 5호선, 1997년 7호선 장암-건대입구 구간, 1997년~1999년 8호선, 1993년 3호선 양재-수서 연장 구간, 1992년~1996년 2호선 신정지선이 건설되었다. 광역 전철로는 1988년 1호선과 직결되는 안산선 금정-원곡 구간,[49] 1994년 4호선과 직결되는 과천선 선바위-금정 구간, 1996년 3호선과 직결되는 일산선 지축-대화 구간이 개통되었다. 부산에서는 1985년부터 1994년까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고, 1999년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서면 구간이 개통되었다. 대구에서는 1997년부터 1998년까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안심 구간이 개통되었다.

2. 3. 4. 2000년대 ~ 현재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어 경부선의 여객 수요를 분산시켰고, 2015년 4월 2일에는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었다.[5] 2007년 3월 23일에는 사설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다.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통해 남북간 단절되었던 경의선동해북부선의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6년 1월 1일 운행이 중단되었던 수인선2004년 12월 28일부터 표준궤 복선 전철화 사업을 시작하여, 2012년 6월 30일 시흥시 오이도역과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역 사이 구간을 재개통했고, 2016년 2월 27일에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역과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 사이 구간을 재개통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 철도의 친환경화를 위해 최초의 간선형 전기동차인 누리로일본 히타치로부터 도입했다. 2012년에는 새마을호를 대체할 열차인 ITX-새마을이 도입되었고, 2019년 새마을호는 운행을 중단했다. 2021년 1월에는 동력분산식 준고속열차인 KTX-이음중앙선을 시작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한국철도공사 연도별 수송 실적[11]
여객 수송량
(통행 횟수)
여객-킬로미터화물 수송량
(톤)
톤-킬로미터
2016136,541,10523,989,379,03432,555,4418,414,121,799
2017136,815,09221,935,189,63331,669,6108,229,194,876
2018134,784,80923,108,145,61130,914,7337,877,511,772
2019139,531,12123,590,036,00228,663,7387,357,429,858



2016년 12월 9일에는 KORAIL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SR이 운행하는 고속열차 SRT가 운행을 시작하여, 한국의 고속철도는 2종류의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3. 노선

현재 대한민국의 철도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분당선, 부산-김해 경전철 등 일부 민간 자본 철도 및 전용 철도를 제외하고 사철이 존재하지 않는다.[40] 노선은 크게 대한민국 정부가 보유하고 국가철도공단이 위탁 관리하며 주로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운영하는 일반 철도 및 광역전철(구 한국철도청)과, 각 지방 자치 단체가 보유하고 각 도시의 공사가 운영하는 도시 철도(지하철, AGT, 모노레일 등)로 나눌 수 있다.

간선은 표준궤로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및 한국 전쟁 이후에 건설된 지하철도 이를 따랐다. 도시 철도의 일부를 제외한 모든 노선이 표준궤로 건설되었다.

3. 1. 주요 간선 노선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하는 주요 간선 노선은 다음과 같다.

3. 2. 전철화 및 비전철화 구간

경부선, 경부고속선, 경원선 연천역 이남 구간, 경의선, 경인선, 경춘선, 경전선 진주역 이동 구간, 장항선 신창역 이북 구간, 전라선, 중앙선 안동역 이북 구간, 동해선 일광역 이남 구간, 호남선, 호남고속선은 전철화 구간이다.

경북선, 경원선 연천역 이북 구간, 경전선 진주역 이서 구간, 광양제철선, 괴동선, 군산화물선, 대구선, 동해선 포항역 이북 구간, 문경선, 삼척선, 교외선, 장항선 신창역 이남 구간, 정선선, 중앙선 안동역 이남 구간, 양산화물선, 진해선, 장성화물선, 장항화물선, 신동화물선, 온산선은 비전철화 구간이다.

3. 3. 도시 철도

대한민국 최초의 도시 철도는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으로,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 개통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지어진 지하철 노선이다.[51]

서울특별시1970년대~1980년대에 개통된 1기 지하철, 1990년대~2000년대 초반에 개통된 2기 지하철, 2000년대 후반부터 개통된 3기 지하철로 구분한다. 현재 수도권 지역에는 1·2·3·4·5·6·7·8·9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강선, 공항철도, 신분당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우이신설선, 김포도시철도,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1980년대에는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김해, 양산으로 노선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부산경상남도에는 1·2·3·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이 운행되고 있다.

대구에는 1·2·3이, 대전광주에는 각각 1호선이 운영되고 있다. 각 노선은 해당 도시의 공기업이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계속 새로운 노선이 생겨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새로 건설되는 노선을 경전철로 지을 계획이며, 부산광역시대전광역시, 경기도는 노면 전차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4. 여객 운송

대한민국의 철도 여객 운송은 주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SR이 담당하고 있다. 코레일은 KTX와 광역전철 등을 운영하며, SR은 SRT를 운영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관광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중단되었다.[52] 2000년대 이후 다양한 관광열차가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52] 2013년에는 '대한민국 5대 관광벨트'가 선정되었고,[53] 여러 관광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관광열차 운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54]

4. 1. 열차 등급

4. 2. 관광 열차

1980년대1990년대에 일부 관광열차가 운행했지만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중단되었다.[52] 2000년대에 들어 다양한 관광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는데, 2007년 코레일관광개발에서 바다열차를, 2008년에는 레일크루즈 해랑을 선보였다.[52]

2013년에는 '대한민국 5대 관광벨트'가 선정되었고,[53] 같은 해 4월에는 O-trainV-train이, 9월에는 S-train이 운행을 시작했다. 2014년 5월에는 DMZ-train이, 2015년 2월에는 G-train이, 2015년 1월에는 A-train이 운행을 시작했다.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관광열차 운행이 차질을 빚고 있다.[54]

5. 화물 운송

컨테이너, 시멘트 등을 수송하며, 때로 공화차라 불리는 회송되는 빈 화차도 운행한다. 한편 우편물이나 곡물 등을 수송하는 화물열차는 분류상 여객열차의 범주에 들어간다.

2019년 기준 운송수단별 국내화물운송분담률은 도로 92.6%, 해운 6%, 철도 1.4%, 항공 0%이다. 철도는 네 종류의 운송 수단 가운데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6. 운영

1917년 7월 31일, 국유철도 운영이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위탁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폐지되었고, 서울에 남만주철도 경성관리국이 설치되었다. 1925년 4월 1일 다시 조선 총독부 직영 체제로 전환되었다.

철도청2004년 1월 1일 시설 보유와 건설 부문을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분할하였다. 2005년 1월 1일부터 철도 영업 부문이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로 분할되어 출범하였으며[55], 2007년 5월부터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KORAIL영어)로 일원화했다. 한국철도공사는 대한민국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유일한 공기업이다. 2009년 9월 본사를 정부대전청사에서 대전역 동광장의 신 사옥으로 이전했다.[56]

현재 대한민국의 철도는 일부 민간 자본 철도(서울 지하철 9호선, 신분당선, 부산-김해 경전철 등) 및 전용 철도를 제외하고 사철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철도는 다음과 같이 이분할 수 있다.

7. 철도 문화

한국철도공사지하철 및 광역전철을 제외한 대부분의 철도를 운행하며,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를 연결하고 있다. 1967년에는 일반 여객용 증기 기관차가, 1995년에는 협궤 철도가 사라졌다. 2004년2015년에는 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가 각각 개통되어 경부선호남선의 여객 수요를 분산시켰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여객 영업을 하는 사설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는데, 이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였다가 다시 사유화되었다. 철도학계에서는 간선 철도망과 간선 고속도로망의 길이가 약 3000km로 거의 같은 현상에 대해, 다른 세계 주요국에서 찾아보기 힘든 철도 인프라 과소 현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50]

7. 1. 철도 문화재

(단체)지정일21호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太白 鐵岩驛頭 選炭施設)강원 태백시 철암동 365-1 외 6필지태백시2002년 5월 31일45호
연천역 급수탑
(漣川驛 給水塔)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한국철도공사2003년 1월 28일46호삼척 도계역 급수탑
(三陟 道溪驛 給水塔)강원 삼척시 도계읍 전두남2길 58 (전두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1월 28일47호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永同 秋風嶺驛 給水塔)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로 447, , 336-24 (추풍령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1월 28일48호--논산 연산역 급수탑
(論山 連山驛 給水塔)충남 논산시 연산면 선비로275번길 31-2 (청동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1월 28일49호안동역 급수탑
(安東驛 給水塔)경북 안동시 운흥동 207-2 외2003년 1월 28일50호영천역 급수탑
(永川驛 給水塔)경북 영천시 완산동 891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1월 28일51호--밀양 삼랑진역 급수탑
(密陽 三浪津驛 給水塔)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56-2 (송지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1월 28일59호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永同 老斤里 雙窟다리)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1길 3-2 (노근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3년 6월 30일63호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
(咸平 舊 鶴다리驛 給水塔)전남 함평군 학교면 학다리길 279 (학교리)한국철도공사2003년 6월 30일77호파주 경의선 구 장단역 터
(坡州 京義線 舊 長湍驛 터)경기 파주시 장단면 동장리 198한국철도공사2004년 2월 6일78호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京義線 長湍驛 蒸氣機關車)경기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400-5경기관광공사2004년 2월 6일79호파주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坡州 京義線 長湍驛 죽음의 다리)경기 파주시 장단면 도라산리 894한국철도공사2004년 2월 6일105호
울산 남창역사
(蔚山 南倉驛舍)울산 울주군 온양읍 남창역길 40 (남창리)2004년 9월 4일112호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鐵原 金剛山 電氣鐵道橋梁)강원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산81-2, 갈말읍 정연리 1496 외철원군수2004년 9월 4일122호
구 곡성역사
(舊 谷城驛舍)전남 곡성군 오곡면 기차마을로 232 (오지리).2004년 12월 31일128호
순천 구 원창역사
(順川 舊 元倉驛舍)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송리 559순천시2004년 12월 31일136호--서울 구 신촌역사
(서울 舊 新村驛舍)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74-12, 74-21서대문구청2004년 12월 31일138호
원주역 급수탑
(原州驛 給水塔)강원 원주시 학성동 357한국철도시설공단2004년 12월 31일165호--원주 구 반곡역사
(原州 舊 盤谷驛舍)강원 원주시 반곡동 154-2.2005년 4월 15일168호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舊 鐵道廳 大田地域事務所 補給倉庫 三號)대전 동구 소제동 291-6.2005년 4월 15일192호
진해역
(鎭海驛)경남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761-474, 7-38.2005년 9월 14일202호
진주역 차량정비고
(晉州驛 車輛整備庫)경남 진주시 강남동 2452005년 9월 14일204호밀양 상동터널
(密陽 上東터널)경남 밀양시 상동면 안인리 1611-19 외, 상동면 옥산리 888-2한국철도시설공단2005년 9월 14일208호--군산 구 임피역
(群山 舊 臨陂驛)전북 군산시 임피면 서원석곡로 39 (술산리).2005년 11월 11일210호--익산 구 춘포역사
(益山 舊 春蒲驛舍)전북 익산시 춘포면 춘포1길 17-1 (덕실리).2005년 11월 11일250호
서울 한강철도교
(서울 漢江鐵道橋)서울 용산구 이촌동 198-2 외2006년 6월 19일269호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
(서울 淸凉里驛 檢修車庫)서울 동대문구 왕산로 214, 외 1필지 (전농동).2006년 9월 19일270호--대구 구 반야월역사
(大邱 舊 半夜月驛舍)대구 동구 신기동 5-1한국철도시설공단2006년 9월 19일285호칠곡 구 왜관터널
(漆谷 舊 倭館터널)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882-61,65기획재정부2006년 12월 4일294호
고양 구 일산역사
(高陽 舊 一山驛舍)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2동 655-628.2006년 12월 4일295호--남양주 구 팔당역
(南楊州 舊 八堂驛)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98-1, 342.2006년 12월 4일296호--양평 구 구둔역
(楊平 舊 九屯驛)경기 양평군 지제면 일신리 1336-2 외 11필지.2006년 12월 4일297호
영동 심천역
(永同 深川驛)충북 영동군 심천면 심천로5길 5-1, 외 (심천리).2006년 12월 4일298호--삼척 구 도경리역
(三陟 舊 桃京里驛)강원 삼척시 도경동 182, 176-1, 산37-3, 산39-3, 산29-4, 196-2한국철도시설공단2006년 12월 4일299호--나주 구 남평역
(羅州 舊 南平驛)전남 나주시 남평읍 동촌로 313, 외 (광촌리).2006년 12월 4일300호--서울 구 화랑대역
(서울 舊 花郞臺驛)서울 노원구 공릉2동 29-51, 37-2.2006년 12월 4일301호--여수 구 율촌역
(麗水 舊 栗村驛)전남 여수시 율촌면 당머리길 18, 외 (조화리)한국철도공사, 국토교통부2006년 12월 4일302호
부산 송정역
(釜山 松亭驛)부산 해운대구 송정중앙로8번길 60, 외 (송정동).2006년 12월 4일303호--대구 구 동촌역사
(大邱 舊 東村驛舍)대구 동구 동촌로 91-19 (검사동)한국철도시설공단2006년 12월 4일304호문경 구 가은역
(聞慶 舊 加恩驛)경북 문경시 가은읍 대야로 2441, 외 (왕능리).2006년 12월 4일305호--보령 청소역
(保寧 靑所驛)충남 보령시 청소면 청소큰길 176, , 343-1외 (진죽리).2006년 12월 4일326호문경 구 불정역사
(聞慶 舊 佛井驛舍)경북 문경시 불정강변길 187 (불정동)한국철도시설공단2007년 4월 30일336호
삼척 구 하고사리역사
(三陟 舊 下古士里驛舍)강원 삼척시 도계읍 소달길 12-52 (고사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7년 7월 3일377호대전 대흥동 일·양 절충식 가옥
(大田 大興洞 日·洋 折衷式 家屋)대전 중구 대흥동 429-4대전시 중구2008년 7월 3일406호칠곡 왜관철교
(漆谷 倭館鐵橋)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적로 39, 외 교량 1기, 연장 469m, 면적 2869.8m2 (석전리)한국철도시설공단2008년 10월 1일414호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미카型 蒸氣機關車 304號)제주 제주시 연동 270-5(삼무공원)2008년 10월 17일415호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미카型 蒸氣機關車 129號)대전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한국철도공사 사장2008년 10월 17일416호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디젤電氣機關車 2001號)부산 부산진구 범천동 1210(부산철도차량관리단)2008년 10월 17일417호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파시型 蒸氣機關車 23號)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18호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狹軌 蒸氣機關車 13號)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19호
대통령 전용 객차
(大統領 專用 客車)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0호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
(駐韓 유엔軍司令官 專用 客車)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1호
협궤무개화차
(狹軌無蓋貨車)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2호
협궤유개화차
(狹軌有蓋貨車)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3호
대한제국기 철도 통표
(大韓帝國期 鐵道 通票)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4호
대한제국기 경인철도 레일
(大韓帝國期 京仁鐵道 레일)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5호
쌍신폐색기
(雙身閉塞器)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426호
전차 363호
(電車 363號)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13, 국립서울과학관 (인의동)2008년 10월 17일428호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서울 舊 龍山鐵道病院 本館)서울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 (한강로3가).2008년 10월 27일467호전차 381호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0,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시티빌딩)서울특별시2010년 8월 24일494호
부산 전차부산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박물관동아대학교2012년 4월 18일540호
영암선 개통 기념비경북 봉화군.2013년 2월 21일579호구 만경강 철교전북 전주시 덕진구 화전동 969, 969-1 ·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 820.2013년 12월 20일719-3호군산 내항 철도전북 군산시 장미동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2018년 8월 6일720-1호구 영주역 5호 관사경북 영주시 두서길 57강ㅇㅇ/ 최ㅇㅇ2018년 8월 6일720-2호구 영주역 7호 관사경북 영주시 두서길 63영주시/ 이ㅇㅇ2018년 8월 6일753호
부산 구 동래역사부산 동래구 낙민동 112-3번지부산광역시2019년 6월 5일780호
수원역 급수탑경기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한국철도공사2020년 5월 4일


7. 2. 동호 활동

대한민국에서도 철도 동호인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각자 활동하던 동호인들은 PC통신인터넷 상의 동호회가 발달하면서 집단으로 모이게 되었다.[57] 이들은 민간 단체 차원에서 활동하거나 때로는 한국철도공사 측과 연계하여 행사를 열기도 하는데, 특히 2012년 7월에는 문화역서울 284에서 ‘제1회 철도문화체험전’을 개최하기도 하였다.[58] 2010년부터는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 상업 잡지인 《레일러》가 발행되고 있다.

8. 국제 연결

대한민국은 브릭스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과 교류하기 위해 자국 철도를 북한 경유로 시베리아 횡단 철도, 중국 국철과 화물 열차 직통 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여객의 국제 열차 운행 계획도 있었으며, 2008년에는 서울 - 베이징을 잇는 국제 열차용 침대 열차인 해랑이 탄생했으나 남북 관계 악화로 국제 열차 운행은 보류되었다.[1]

대한민국의 철도는 과거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자본에 의해 철도가 개통되었고, 일본의 지원이나 일본제 차량을 수입했던 영향으로 복선 구간에서는 좌측 통행(다만 도시 철도는 일부를 제외하고 우측 통행)이며,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는 차량에서는 동력 분산식이 대부분인 등 일본의 철도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2015년까지 판매되었던 한일 공동 승차권[1]이나, KTX 및 도시 철도의 주요 역에서 차내 방송으로 영어, 중국어와 함께 일본어가 나오는 등,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일본인 관광객이 많기 때문에 일본 시장을 의식한 움직임도 보인다.

8. 1. 북한

대한민국은 브릭스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과 교류하기 위해 자국 철도를 북한 경유로 시베리아 횡단 철도, 중국 국철과 화물 열차 직통 운전을 계획하고 있으며, 남북 철도 재연결을 통해 2006년 반세기 만에 북한과의 직통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이후 북한 측의 통보에 의해 운행이 중단되었다.[1]

또한, 여객의 국제 열차 운행 계획도 있었으며, 2008년에는 서울 - 베이징을 잇는 국제 열차용으로 침대 열차인 해랑이 탄생했으나 남북 관계 악화로 국제 열차 운행은 보류되었다.[1] 해랑은 국내 관광 크루즈 열차로 운행되고 있다.[1]

8. 2. 일본

대한민국의 철도는 과거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자본에 의해 철도가 개통되었고, 일본의 지원이나 일본제 차량을 수입했던 영향으로 복선 구간에서는 좌측 통행(다만 도시 철도는 일부를 제외하고 우측 통행)이며,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는 차량에서는 동력 분산식이 대부분인 등 일본의 철도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대한민국에서도 최근 일본의 조이풀 트레인과 유사한 관광 열차가 각지에서 운행되고 있다.

또한, 2015년까지 판매되었던 한일 공동 승차권[1]이나, KTX 및 도시 철도의 주요 역에서 차내 방송으로 영어, 중국어와 함께 일본어가 나오는 등,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일본인 관광객이 많기 때문에 일본 시장을 의식한 움직임도 보인다.

지하철·도시 철도에서는 역명의 일본어 표기가 서울시 등에 의해 정식으로 제정되어 역명판 및 노선도 등의 안내에 사용되고 있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원칙적으로 한자가 사용되는 데 반해, 수도권 전철의 각 노선에서는 가타카나가 안내에 사용되고 있다.

9. 곡선 선로

열차는 구조상 자동차처럼 급커브를 돌 수 없으며, 보통 곡선 반경이 250m 이상이다. 차량의 원심력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바깥쪽 레일을 높게 설치하는데, 이를 캔트(cant)라고 한다. 곡선 선로에서는 원심력으로 인해 전복될 위험이 있어 제한 속도가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철도에서는 곡선에서의 열차 최고 속도를 선로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1]

:V = 2.8 - 4.5 \sqrt R (V = 곡선 제한속도 (Km/h), R = 곡선 반경 (m))

곡선반경 (m)200-250250-300300-350350-500450-550550-650650-750750-850850-95010001200 이상
V = 2.8 \sqrt R 로 산정했을 때의 이론적 곡선 제한속도 (km/h)39.5-44.244.2-48.448.4-52.452.4-62.659.3-65.765.7-71.371.3-76.776.7-81.681.6-86.388.597.0 이상
V = 4.5 \sqrt R 로 산정했을 때의 이론적 곡선 제한속도 (km/h)63.6-71.171.1-77.977.9-84.284.2-100.695.4-105.5105.5-114.7114.7-123.2123.2-131.1131.1-138.6142.3155.9 이상
2급선---90100110115125130135140
호남선 (익산-목포), 전라선 (신리-동순천)---90100110115125130140150
분당선---758590100----
3급선556065758590100120125130140
4급선45505560-------


참조

[1] 뉴스 The Failed Attempts of Korea's First Railroad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09-05
[2] 간행물 Forging Iron Horses and Iron Men: Rail Transport in the Korean War and the Influence of the US Army Transportation Corps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National Railroad University of York 2008
[3] 서적 United States Congressional Serial Set, Volume 7987 Government Printing Office
[4] 학술 The Beginnings of Japan's Economic Hold over Colonial Korea, 1900-1919 https://journals.ope[...] 2021-08-19
[5] 뉴스 Bullet trains steal planes' thunder http://joongangdaily[...] joongangdaily.joins.com 2010-01-05
[6] 학술 Risk Management in a Large-Scale New Railway Transport System Project: Evaluation of Korean High Speed Railway Experienc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raffic and Safety Sciences
[7] 웹사이트 대곡~소사 복선전철 민간투자시설사업 실시계획 변경(7차) http://luris.molit.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1-08-20
[8] 뉴스 Gov't, Korail clash over KTX privatizat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1-12
[9] 웹사이트 Shareholders https://www.srail.or[...] SR Co., Ltd 2021-08-21
[10] 웹사이트 Koreas Survey Railway Tracks Cut Since the Korean War https://www.voanews.[...] Voanews.com 2018-11-30
[11] 웹사이트 Koreas survey North's railways in hopes of joining networks | the News Tribune https://www.thenewst[...] 2018-12-26
[12] 뉴스 First train in a decade departs South Korea for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8-11-30
[13] 웹사이트 '[Newsmaker] Koreas in consultations for joint road inspectio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8-12-05
[14] 웹사이트 Joint Inspection of N. Korea's Eastern Rail Line Begins l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World.kbs.co.kr 2019-05-20
[15] 웹사이트 (3rd LD) Koreas agree to hold groundbreaking ceremony for rail, road reconnection on Dec. 26 | Yonhap News Agency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8-12-13
[16] 웹사이트 News View :: The World On Arirang http://www.arirang.c[...] Arirang.co.kr 2019-05-20
[17] 웹사이트 N. Korea railway not in good condition: inspection team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8-12-17
[18] 웹사이트 US approves inter-Korean railway groundbreaking ceremony : North Korea : News : The Hankyoreh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8-12-22
[19] 웹사이트 Two Koreas Begin Joint Road Survey l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World.kbs.co.kr 2019-05-20
[20] 웹사이트 Koreas Hold Groundbreaking Ceremony for Railway Project http://time.com/5488[...] 2018-12-26
[21] 학술 The impacts of high-speed rail extensions on accessibility and spatial equity changes in South Korea from 2004 to 2018 https://www.scienced[...] 2021-08-20
[22] 웹사이트 Railway Route Map in South Korea https://korearailway[...] 2020-06-21
[23] 웹사이트 KTX {{!}} Seoul to Busan, Daeju etc. Train {{!}} Reviews, Photos & Information https://trainreview.[...] 2020-10-20
[24] 웹사이트 SRT {{!}} Suseo to Busan and Mokpo Train {{!}} Reviews, Photos & Information https://trainreview.[...] 2020-10-20
[25] 웹사이트 Train Information: Information on KORAIL's Conventional Trains: ITX-Saemaeul http://info.korail.c[...] Korail
[26] 웹사이트 Train Information: Information on KORAIL's Conventional Trains: Mugunghwa-ho http://info.korail.c[...] Korail
[27] 웹사이트 Train Information: Information on KORAIL's Conventional Trains: Nuriro http://info.korail.c[...] Korail
[28] 웹사이트 Rail Cruise Haerang {{!}} South Korea's Hotel on Wheels {{!}} Review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20
[29] 뉴스 日 관광열차 거장 "세상에 하나뿐인 디자인이 중요" https://m.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6-10-30
[30] 웹사이트 Costs for Rail Cruise Haerang travel plans http://www.railcruis[...]
[31] 뉴스 Korean trains in historic link-up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5-17
[32] 뉴스 Korean detente railway becomes ghost train https://www.telegrap[...] 2008-10-23
[33] 웹사이트 Gov't Vows to Protect Public from H1N1 Influenza ㅣ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World.kbs.co.kr 2019-05-20
[34] 웹사이트 Trans-Korean Main Line – Investment in the Future – Russian Transport Daily Report http://rtdr.org/corp[...] 2010-10-29
[35] 뉴스 South Korea mulls undersea tunnels to China, Japan https://www.reuters.[...] Reuters 2010-09-20
[36] 뉴스 Seoul says undersea tunnels with Japan, China economically infeasible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1-01-04
[37] 뉴스 Political jousting escalates over N.K. nuke plant document, sea tunnel proposal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1-02-02
[38] 뉴스 "South Korea-Japan Underwater Tunnel" Surfaces as an Issue in the Busan Election: "Pro-Japan" "DJ Promoted It, Too" http://english.khan.[...] Kyunghyang Shinmun 2021-02-04
[39] 간행물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08
[40] 문서 過去には狭軌時代の水仁線車両等、気動車に貫通扉を装備した車両が存在した
[41] 웹사이트 ソウルから地方への行き方~鉄道編~ http://www.konest.co[...]
[42]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null
[43] 웹사이트 鉄道 http://japanese.dgs.[...]
[44] 문서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
[45] 뉴스 http://newslibrary.n[...]
[46] 뉴스 http://news.naver.co[...]
[47] 뉴스 매장탄량수억톤 단양,영월 등 철도부설시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12-28
[48] 뉴스 철도건설억제방향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05-27
[49] 문서 과천선의 완공 이후 4호선과도 직결되기 시작했으며, 1호선과 직결되는 운행 계통은 2003년에야 폐지되었다.
[50] 서적 자동차 권하는 사회 양서각 2007
[51] 간행물 인천지하철 인천지하철공사 2007-11
[52] 뉴스 '[커버스토리] 여름휴가 사용설명서' http://life.joins.co[...] 중앙일보 2009-06-11
[53] 뉴스 근로자 휴가비 지원·22일간 여행 방학…관광 내수 살리기 '올인'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02-04
[54] 뉴스 5대 철도관광벨트로 창조경제 열차가 달린다 http://www.cnews.co.[...] 건설경제 2014-12-31
[55] 문서 법률 제7052호 한국철도공사법, 2003년 12월 31일 발효
[56] 문서 단, 광역철도본부는 서울사옥(서울 용산구 동자동 소재)에 위치하고 있다.
[57] 뉴스 철도야 너를 사랑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11-28
[58] 뉴스 문화역서울 284에서 첫 ‘철도문화체험전’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